사용자는 보기 좋은 디자인을 사용성이 더 뛰어난 디자인으로 인식한다
핵심 요약
- 보기 좋은 디자인은 인간의 뇌에 긍정적 반응을 일으켜서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이나 서비스의 사용성이 뛰어나다는 생각이 들게 한다.
- 제품이나 서비스의 디자인이 보기 좋으면, 사용자는 사소한 사용성 문제에 비교적 관대해 진다.
- 시각적으로 만족스러운 디자인은 사용성 문제를 가리고 사용성 테스트 중에 문제가 드러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.
개요
- 디자이너라면 디자인 업무가 단순히 디자인 결과물이 어떻게 보이느냐에 관한 문제가 아니라 어떻게 작동하느냐에 관한 문제임을 암
- 좋은 디자인이 매력적인 디자인이 될 수 없다는 뜻은 X
- 디자인에 대한 심미적 만족도는 사용성에도 영향을 미침
- 보기 좋은 디자인은 인간의 뇌에 긍정적 반응을 일으켜서 사용성이 뛰어나다는 생각이 들게 함
- 이러한 현상을 심미적 사용성 효과라고 함
기원
- 1995년 히타치 디자인 센터의 연구원 쿠로스 마사아키, 카사무라 아오리가 수행한 연구
- 내재된 사용성, 외형적 사용성이라고 지칭한 개념을 알기 위해서 조사를 시작함
- 이 연구는 사용하기 편하다라는 인식과 시각적 매력 사이에 상관관계가 존재함을 입증
샘플 레이아웃 패턴
- 252명의 실험참가자에게 현금자동입출기(ATM) 인터페이스 레이아웃 패턴 256가지를 보여주고 각 디자인을 기능성과 심미성 측면에서 평가해 달라고 부탁함
- 참가자는 10점 만점을 기준으로 각 디자인을 기능성과 심미성 측면에서 평가해 달라고 부탁함
- 인터페이스의 시각적 매력에 관한 인식이 사용성에 관한 인식에 매우 강력한 영향을 끼침
- 외형적 사용성은 내재된 사용 편의성보다 외형적 아룸다움과 큰 연관이 있음
자동 인지 처리
- 주변의 모든 사물을 조심조심 처리하는 것은 너무 느리고 상황에 따라 위험해질 수 있음
- 과거 경험을 바탕으로 정보를 처리하고 판단하기 시작함
- 사람들이 처음 접한 웹페이지에 관한 의견을 형성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50밀리초 이내임
- 이를 결정하는 주된 요인은 시각적 매력이라는 것임
- 하지만 짧은 시간에 본능적으로 형성된 의견은 사이트에 오래 머물러도 바뀌지 x
사례
브라운
- 브라운은 디자인 세계에 불멸의 업적을 남겼을 뿐만 아니라 보기 좋은 제품이 얼마나 깊은 인상을 남기는지 입증함
- 디터 람스는 형태가 기능을 따를 것을 강조하는 less but better 라는 원칙을 제시함
- 이원칙을 따라 역사상 가장 휼룽한 디자인으로 무장한 제품이 탄생함
Apple
- 애플은 우리에게 사용하기 편한 인터페이스 디자인으로 유명함
- 좋은 디자인이 비즈니스 성공의 필수 덕목이 되는 새로운 시대를 열기도 함
- 미학적으로 아름다운 디자인 때문에 사용성 문제를 눈감아 줄 확률은 훨씬 더 높아짐
사용자 테스트에 미치는 영향
- 보기 좋은 디자인은 긍정적 혜택을 주는 동시에 상당한 주의를 요함
- 디자인이 아름다우면 사용성도 더 좋게 느껴지기 때문에 사용성 문제를 간과할 가능성도 더 커짐
- 심미성이 사용성에 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고 이러한 영향이 완화되도록 사용자가 사용성을 평가할때 경청해야 함
- 어떻게 사용하는지 주의 깊게 관찰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함
정리
- 보기 좋은 디자인은 사용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
- 아름다운 디자인은 사용자에게 긍정적인 감정 반응을 일으킬 뿐 아니라 인지 능력도 향상시키기 때문
- 사용자는 이를 통해 해당 디자인의 사용성이 더 뛰어나다고 느끼고 사소한 사용성 문제를 간과할 가능성이 커짐
- 사용성 테스트를 할 때 만큼은 보기 좋은 디자인으로 인해 사용성 문제가 가려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함
'UX 리서치 연구일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UX/UI의 10가지 심리학 법칙(9) - 테슬러의 법칙 (1) | 2024.07.24 |
---|---|
UX/UI의 10가지 심리학 법칙(8) - 폰 레스토프 효과 (3) | 2024.07.23 |
UX/UI의 10가지 심리학 법칙(6) - 피크엔드의 법칙 (0) | 2024.07.15 |
UX/UI의 10가지 심리학 법칙(5) - 포스텔의 법칙 (0) | 2024.07.13 |
UX/UI의 10가지 심리학 법칙(4) - 밀러의 법칙 (0) | 2024.07.10 |